전통문화재단 대표 박민호는 매일 나의 힐링을 위한 명작 동화소설 기초편 필사노트(가나안디앤피)를 출간했다.
박민호 편저자는 과거를 돌아보며 ‘진정한 문화예술인이 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가’에 대한 자신의 생각한 명작 동화소설 명문과 작가의 자세와 태도을 한 권의 필사책으로 정리했다. 박작가는 30년간 문화예술행정, 공연과 전시기획, 문화예술 영재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험하고 현재는 전통문화재단 대표로 일하여 집필 활동도 하고 있다.
박 작가는 지난 30년간 연구한 문화예술을 토대로, 저자의 경험에서 끌어올린 질문을 담았다.
‘삶의 지혜와 교훈을 암시하는 이솝우화’, ‘동화소설의 문장의 중요성’, ‘작가가 나의 창작루틴로 다루는 법’ 등
일상의 삶을 한층 더 편안하게 이끄는 명언과 위로가 가득하다.
창조적인 사람이 새로운 습관을 만드는 데 보통 100일이 필요하다. 학교로 치자면 한 학기 기간이다.
그러므로 100일은 창조의 습관이 자리 잡는 최소한의 기간이다. 그래서 이 책은 ‘우화와 동화을 필사하고 연구하기’, ‘단편소설에서 자연과 인간의 소중한 관계을 깨닫기’, ‘ 자신이 보고 느낀 것을 말과 글로 온전하게 표현하는 문장력’ ‘ 작가의 자세와 태도 그리고 창작루틴’ 등 매일 한 장씩 나의 힐링과 문장력을 채워주는 삶의 태도를 100일간 필사하도록 구성했다.
작가면 누구나 한번쯤 가지는 특별한 Q&A를 수록했다. ” 인간은 왜 태어났는가 “, ” 신은 있는가 ?” ” 인생은 연극인가 ?” ” 자연과 인간의치는 무엇인가?” 등의 인생 질문 7가지는 그동안의 살아온 삶의 태도를 재 정립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하루에 한 장씩 이 필사 노트를 채우면, 100일 뒤 자신만의 창조력이 차오르는 것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작가는 “명작을 통해 나를 들여다보기는 힐링은 필사 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필사는 대가의 글을 통해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돌아보도록 돕는 지적인 도구”라고 말한다.
최근 MZ 세대 사이에서 필사가 새로운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빠르게 소비되는 숏폼(Short-form) 영상이 인기를 끌고 있지만, 반대로 자극적인 콘텐츠에 지친 이들이 ‘텍스트힙(TextHip)’에 매력을 느끼고 있다. 필사는 단순한 글쓰기를 넘어 창조적 사고를 깨우고 세상을 변화시키는 원동력이 될 수 있다. 편저자 박민호 프로필
박민호는 예술의전당 공채 1기로 입사해 22년간 문화예술 분야에서 활동했다. 예술의전당 월간지 《뷰티풀 라이프》와 주간지 《아트&라이프》 편집장을 5년간 역임했다. 2009년부터 충무아트홀 대표로 일하며 뮤지컬 《이순신》, 《삼총사》, 《산대희》 등의 공연을 총괄 기획했고, ‘동화와 놀이’, ‘김영갑 사진전’ 등의 전시를 기획했다. 2011년부터 전통문화재단에서 활동하며, 2012년 대한민국예술인센터 디자인미술관에서 피노키오 탄생 130주년 기념 전시 《삐뚤빼뚤 피노키오》를 기획했다. 2013년부터는 서울시교육청과 함께 문화예술영재 1,000명 양성 프로젝트를 12년간 진행하고 있다. 국립 러시아 영화학교 재학 중 《주몽 신화의 세계관》을 저술했으며, 아트인콘텐츠 대표로 활동하며 시나리오, 웹툰, 애니메이션을 창작했다. 2022~2023년에는 스페인 레알 마드리드 프로축구단의 공인 웹툰 《슈퍼스타 사피엔스》(52화)의 시나리오 및 콘티를 외주 받아 제작했다. 지은 책으로는 이론서 <아트센터와 공연예술, 민속원 2015> <무대기술 핸드북, 영상과 디자인 1994> 에세이 <대한민국 생태관광지 10선, 늘봄출판사 2010 공저> 동화 <바보온달> <별사탕 뿌듯이> 등이 있다.